개발팁8 8. [AWS] Security Group으로 방화벽 설정하기 Security Group은 EC2 인스턴스에 적용할 수 있는 방화벽 설정이다. 방화벽이란, 외부 사용자들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조의 내부 네트워크 방어도구이다. 예를 들어, Linux 서버의 SSH 접속 포트인 22번만 허용하게끔 한다던가, 접속 가능한 IP대역을 설정해준다던가 해서 외부로부터의 위협을 줄일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EC2 인스턴스로 접근할때나, EC2 인스턴스에서 외부로 나갈때는 방화벽을 거치게 된다. Security Group은 이러한 방화벽 설정을 할 수 있는 AWS의 기능이다. 이러한 방화벽 설정은 항상 우선적으로 체크해주어야 한다.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열심히 서버를 설치한다고 하여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을때가 있다. 이럴때는 먼저.. 2023. 3. 8. 7. [AWS] EBS에 대해서 알아보자 - (3) 스냅샷 활용하기 EBS 볼륨은 다른 가용 영역이나 리전으로 불가능하다.그래서 EBS 볼륨의 스냅샷을 생성하고 다른 리전으로 복사해야 한다. (스냅샷이란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파일로 저장한 형태이다.) 스냅샷 생성하는 과정부터 활용하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자 1. EBS 스냅샷 생성하기 1. 스냅샷을 생성할 볼륨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뒤, 'Create Snapshot' 을 눌러서 스냅샷을 생성해주자. 볼륨 스냅샷 생성 2. 스냅샷 세부 설정 과정이다. Description은 굳이 적어주지 않아도 된다. Create Snapshot 눌러서 스냅샷을 생성해주자. 스냅샷 세부 설정 3. EBS의 Snapshots 항목으로 들어가면 생성된 스냅샷을 확인할 수 있다. 스냅샷 생성 2. EBS 스냅샷으로 EBS 볼륨 생성하기 .. 2023. 3. 8. 6.AWS/AWS Service6. [AWS] EBS에 대해서 알아보자 - (2) 볼륨 포맷 및 마운트 EBS를 OS에서 사용하려면 알맞은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하고 마운트 해주어야 한다. 그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1. EBS 볼륨 포맷 및 마운트하기 1. 먼저 포맷할 볼륨의 장치명을 확인해주자. /dev/sdf 로 되어있다. 볼륨의 장치명 확인 /dev/sdf 2. 생성했던 인스턴스가 Linux이기에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해주었다. 인스턴스에 접속한 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주자 sudo mkfs -t ext4 /dev/sdf // /dev/sdf 의 장치를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해주는 과정이다. 볼륨 포맷 3. /dev/sdf 장치가 있는지 확인해주고 sudo mount /dev/sdf /mnt 명령어를 통해서 /mnt 디렉토리에 마운트 해주도록 하자. /dev/sdf 마운.. 2023. 3. 8. 5. [AWS] EBS에 대해서 알아보자 - (1) 생성 및 장착 EBS (Elastic block store) EBS는 AWS에서 EC2인스턴스에 사용할 수 있는 블록 스토리지이다. 우리가 물리적으로 사용하던 하드디스크나 SSD를 원하는 크기, 성능으로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인스턴스에 EBS 볼륨을 장착하면 더 많은 저장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EBS 볼륨을 생성하고 인스턴스에 장착하는 과정까지 살펴보도록 하자. 1. EC2 항목에서 Elastic Block Store > Volume으로 들어가서 Create Volume으로 볼륨을 생성해주자. EBS Volume 화면 2. 볼륨의 유형, 크기, 가용 영역, 스냅샷 ID를 설정할 수 있다. 사이즈는 10GB로 가용영역은 ap-northeast-2c로 설정해주었다. Volume 설정 3. EBS가 .. 2023. 3. 7. 이전 1 2 다음